Research Article

Journal of Humanimal Sciences. 30 June 2025. 68-76
https://doi.org/10.23341/jhas.2025.1.2.68

ABSTRACT


MAIN

  • 1. Introduction

  • 2. Materials and Methods

  •   2.1. 공시동물 및 실험설계

  •   2.2. 실험사료 및 사양관리

  •   2.3. 조사항목 및 방법

  •   2.4. 통계처리

  • 3. Results and Discussion

  •   3.1. 사양성적

  •   3.2. 혈액 성상

  •   3.3. 항산화 효과

  • 4. Conclusions

1. Introduction

항영양인자는 사료 원료 내 존재하는 물질로 영양소 소화, 흡수 및 이용성을 저해하여 동물의 생산성 및 사료 가치를 저해하는 물질이며 이 중 oxalate는 항영양인자로 미네랄과 결합하여 대사를 방해하고 생산성을 저해한다고 알려져 있다[1, 2]. 호주, 뉴질랜드, 영국 등 양계 선진국에서는 동물복지 개선과 소비자의 요구 충족을 위해 약 40%의 농가가 방사 사육을 실시하고 있다[3]. 방사 사육 시 닭은 초지에서 자생하는 목초류를 자유롭게 섭취하는데, 일부 목초류에는 oxalate가 존재하며 특히 발육 초기에 가장 많은 oxalate를 축적한다[2, 4]. 체내에서 과도하게 축적된 oxalate는 칼슘(Ca)과 결합하여 신장결석을 유발할 수 있으며 이는 결과적으로 닭의 생산성을 저하한다고 알려져 있다[5].

Oxalate는 해당과정 중 pyruvate kinase의 작용을 억제하여 ATP 생성을 저해한다[6, 7]. 이로 인한 ATP 부족에 따른 에너지 대사 장애는 간 손상과 활성산소(ROS)의 생성, 세포 내 칼슘의 증가를 일으키며, 특히 세포 내 칼슘 증가는 미토콘드리아의 비선택적 물질 투과 채널 개방을 유도하여 이온과 작은 분자들의 자유로운 이동을 가능하게 해 막 전위를 손상시킴으로써 미토콘드리아의 팽창과 외막 파열을 유발한다[8]. 또한 체내 칼슘 증가와 같은 칼슘 불균형은 산화스트레스와 신장결석을 초래하며[9], 이러한 결과는 육계의 사양성적을 유의적으로 감소시키고 쇠약, 근육 위축, 신장 손상 및 폐사율 증가 등의 증상을 나타낸다[10].

Pyruvate는 에너지의 추가 공급 및 항산화제 역할을 수행한다고 알려져 있다[11]. 앞선 연구에 따르면 creatine pyruvate를 12 mg 투여 시 부화 후 육계 근육 내 ATP 농도가 0.31 µmol/g에서 0.40 µmol/g으로 유의적으로 증가하는 결과를 보였다[12]. 이는 pyruvate 보충이 ATP 추가 공급을 통해서 미토콘드리아 균형 유지와 에너지 공급을 지원할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Ramos-Ibeas et al. [13]은 인간 섬유아세포 및 배아줄기세포 배양 배지에 pyruvate를 2.5 mM 보충했을 때 H2O2를 효과적으로 제거함으로써 산화 스트레스를 억제했다고 보고하였으며, Long and Halliwell[14]은 pyruvate가 함유된 배지에서 H2O2가 효과적으로 제거되어 난소 세포 내 H2O2의 농도가 감소했다고 보고하였다.

현재 육계 사료 내 oxalate로 인한 항영양효과에 대한 pyruvate 첨가에 대한 연구는 제한적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oxalate의 항영양 효과를 완화하기 위한 pyruvate의 보충이 육계의 사양성적, 혈액성상, 항산화 활성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2. Materials and Methods

2.1. 공시동물 및 실험설계

본 연구는 University of Queensland의 동물실험윤리위원회의 승인을 받아(QAAFI/343/20), 본교의 가금류 연구 시설에서 수행하였다. 높은 수준의 oxalate 사료를 섭취한 육계에서 pyruvate의 보충이 사양성적, 혈액성상, 항산화 활성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기 위해 총 216마리의 1일령 육계(Ross 308, 42.13 ± 1.17)를 초기 체중을 기준으로 무작위로 대조구(CON), 1% oxalate 보충(Ox), 1% oxalate 및 1% pyruvate 보충(OxPyr)로 설계한 3가지 식이처리에 배치하였다. 각 처리군은 12반복, 반복당 6마리로 구성하였으며, 시험 기간은 Phase 1 (1‒14d), Phase 2 (15‒28d), Phase 3 (29‒42d)의 3단계로 나누어 총 42일간 실시하였다.

2.2. 실험사료 및 사양관리

실험사료의 영양소 함량은 Aviagen [15]에 제시된 영양소 요구량을 충족하거나 초과하도록 조성하였다(Table 1). 닭은 종이 깔짚이 깔린 평사 펜에서 사육하였으며, 사료와 물은 자유채식하도록 하였다. 계사 내 실내온도는 실험 시작 시 34°C로 설정하였으며, 8일차 이후 매주 3°C씩 점진적으로 낮추어 최종적으로 24°C에 도달하게 하였다. 모든 닭은 6일차까지 24시간동안 점등하였으며, 7일차부터 42일차까지는 16시간 점등, 8시간 소등으로 조정하였다.

Table 1.

Ingredients and nutrient composition of experimental diets, as-fed basis (Phase 1-3)

Item Day 1 to 14 Day 15 to 28 Day 29 to 42
CON Ox OxPyr CON Ox OxPyr CON Ox OxPyr
Ingredients, %
Maize-rolled 62.27 58.31 58.17 65.69 60.94 60.43 66.93 62.29 61.91
Soybean meal 26.07 24.41 24.35 23.26 21.57 21.39 23.66 22.02 21.88
MBM 4.9 4.59 4.58 4.95 4.59 4.55 1.96 1.82 1.81
Fish meal 2 4.23 4.3 1 3.41 3.65 2 4.15 3.95
Con-starch - 3 2.15 - 3.75 3.27 - 3.65 2.9
Vegetable oil 1.96 1.84 1.83 2.72 2.53 2.5 2.65 2.46 2.45
Limestone 1.08 1.01 1.01 0.99 0.92 0.91 1.37 1.28 1.27
MDCP 0.2 0.18 0.18 - - - 0.2 0.18 0.18
Lysine HCL 0.46 0.43 0.43 0.41 0.38 0.37 0.33 0.31 0.31
DL-Methionine 0.43 0.4 0.4 0.39 0.36 0.36 0.34 0.32 0.32
L-Threonine 0.2 0.18 0.18 0.16 0.15 0.15 0.12 0.11 0.11
Salt 0.2 0.18 0.18 0.2 0.18 0.18 0.2 0.18 0.18
Mineral premix1) 0.1 0.09 0.09 0.1 0.09 0.09 0.1 0.09 0.09
Vitamin premix2) 0.1 0.09 0.09 0.1 0.09 0.09 0.1 0.09 0.09
Choline Chloride 0.05 0.05 0.05 0.05 0.05 0.05 0.05 0.05 0.05
Oxalate - 1 1 - 1 1 - 1 1
Pyruvate - - 1 - - 1 - - 1
Total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Nutrient composition
ME, MJ/kg 12.63 12.61 12.62 12.95 12.93 12.95 12.92 12.9 12.9
CP, % 22.23 22.23 22.23 20.55 20.55 20.54 19.81 19.81 19.81
Lysine, % 1.49 1.49 1.49 1.33 1.34 1.34 1.26 1.27 1.27
Met+Cys, % 1.11 1.09 1.09 1.02 1.01 1 0.98 0.96 0.96
Threonine, % 1.01 1 1 0.91 0.91 0.9 0.86 0.85 0.85
Tryptophane, % 0.24 0.24 0.24 0.22 0.22 0.22 0.22 0.22 0.22
Arginine, % 1.38 1.38 1.38 1.27 1.27 1.27 1.21 1.21 1.22
Calcium, % 1.17 1.19 1.19 1.05 1.08 1.08 0.92 0.96 0.95
P, % 0.7 0.72 0.72 0.62 0.65 0.64 0.53 0.56 0.55

MDCP, Monodicalcium phosphate; Met+Cys, Methionine and cysteine; P, Phosphorouse; MBM, Meat and bone meal.

1) Supplied per kilogram of diet: 9,000 IU vitamin A, 1,800 IU vitamin D3, 30 mg vitamin E, 1 mg vitamin K3, 1 mg vitamin B1, 10 mg vitamin B2, 4 mg vitamin B6, 0.02 mg vitamin B12, 12 mg pantothenic acid, 30 mg niacin, 0.20 mg biotin, 0.50 mg folic acid.

2) Supplied per kilogram of diet: 16.0 mg copper, 20.0 mg iron, 0.25 mg cobalt, 110.0 mg zinc, 120.0 mg manganese, 1.40 mg iodine, 0.30 mg selenium.

2.3. 조사항목 및 방법

사양성적은 14일차, 28일차, 42일차에 개체별로 체중과 사료 섭취량을 측정해 증체량 및 사료 요구율을 계산하였다.

혈액성상 분석과 항산화 분석을 위해 29일령에 펜당 1마리를 무작위로 선발하여 날개 정맥에서 혈액을 채취하여 즉시 15 ml Ethylene Diamine Tetraacetic Acid (EDTA) 튜브에 담았다. 채취한 혈액은 원심분리기에서 4°C에서 10분간 2000 g로 원심분리해 혈청을 분리하였고, 분석 전까지 –80°C에서 보관하였다.

혈액성상 분석을 위한 혈청 내 Alanine aminotransferase (ALT), Aspartate aminotransferase transaminase (AST), Alkaline Phosphatase (ALP), Gamma Glutamyl Transpeptidase (GGT), T- Bilirubin (T-Bil)의 수준은 채취한 혈청 3 ml를 사용하여 혈액생화학분석기(7180, HITACHI)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혈청 내 cortisol 수준은 ELISA kit (Enzo Life Science, New York, USA)를 사용해 제조사의 지침에 따라 분석하였다. 혈청 내 항산화 효소 분석을 위해GSTs (Glutathione S Transferases), GSH-Px (Glutathione Peroxidase), Superoxide Dismutase (SOD), Total antioxidant capacity (TAOC)의 분석을 위해 ELISA kit (AFG Scientific, Illinois, USA)를 사용해 제조사의 지침에 따라 분석하였다.

2.4. 통계처리

본 실험에서 측정된 데이터의 유의성은 SAS 버전 9.4를 사용하였으며, 처리구 간 평균을 비교하기 위해 t-test를 이용하였다. p-value가 0.05 미만일 때 통계적으로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나는 것으로 판단하였으며, 0.05 이상 0.1 미만일 때 경향이 나타나는 것으로 판단하였다.

3. Results and Discussion

3.1. 사양성적

육계 사료 내 oxalate의 항영양 효과를 완화하기 위한 pyruvate 보충이 사양성적에 미치는 영향은 Fig. 1과 같다. 본 연구 결과 BWG는 Phase 1‒3에서 대조군에 비해 oxalate를 1% 보충하여 급여한 Ox 처리구와 oxalate 1% 및 pyruvate 1%를 동시 보충 급여한 OxPyr 처리구에서 유의적으로 낮은 결과를 나타냈으며(p < 0.05), 전체 실험 기간에서는 Ox 처리구가 OxPyr 처리구와 비교했을 때 유의적으로 낮은 결과를 나타냈다(p < 0.05). FI는 전체 실험 기간동안 Ox 처리구와 OxPyr 처리구가 대조군과 비교했을 때 유의적으로 낮은 결과를 나타냈으며(p < 0.05), FCR은 처리구간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p > 0.05). Oxalate는 사료 작물에 함유되어 있는 항영양인자로 동물이 섭취했을 때 미네랄과 킬레이트 결합을 형성함으로써 체내 미네랄 흡수 및 대사를 저해하고 생산성을 감소시키며, 이러한 영향은 단위동물이 반추동물보다 민감하게 나타난다고 알려져 있다[2]. Koni et al. [16]은 oxalate가 47.8 mg/kg 함유된 사료를 급여한 육계에서 oxalate가 포함되지 않은 사료를 급여한 대조군에 비해서 BWG가 26.4 g/d, FI가 3.3 g/d 유의적으로 감소시켰다고 보고하였다. 또한 Robertson et al.[17]은 사료 내 oxalate의 함량을 0, 0.25, 0.50, 1%로 첨가하였을 때 6주령 육계의 체중이 각각 495, 464, 460, 392 g으로 감소했다고 보고하였다. 본 연구에서 Ox 처리구의 사양 성적 저하는 oxalate가 Mg2+, Mn2+ 등 성장에 필수적인 미네랄과 불용성 복합체를 형성하여 미네랄의 생체 이용률을 저하시는 데 기인한 것으로 판단된다. 특히 Mn의 생체이용률 감소는 사양 성적 저하와 밀접한 관련이 있는데, de Carvalho et al.[18]은 육계에서 Mn 공급이 부족할 경우 ADG가 2.12 g/d 만큼 유의적으로 감소했으며, FCR이 증가했다고 보고하였다.

https://cdn.apub.kr/journalsite/sites/jhas/2025-001-02/N0690010203/images/jhas_01_02_03_F1.jpg
Fig. 1.

Effect of oxalate and pyruvate supplementation on growth performance of broilers (0-42days). BWG, body weight gain; FI, feed intake; FCR, feed conversion ratio; a-cDifferent letters within the same phase indicate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reatments (p < 0.05).

또한 oxalate는 해당과정의 pyruvate kinase 활성을 억제하여 ATP 생성 경로를 방해함으로써 에너지 대사를 저해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7]. 외인성 pyruvate를 보충했을 때 pyruvate를 통한 추가적인 ATP 공급으로 oxalate에 의한 에너지 대사 저해 효과가 완화될 수 있다[12]. 본 연구결과에 있어 실험 전체 기간 동안 세 처리구간 BWG에서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난 것은 oxalate에 의해 저해된 에너지 대사가 pyruvate 보충에 의해 부분적으로 개선되었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3.2. 혈액 성상

사료 내 oxalate와 pyruvate의 첨가에 따른 혈액 성상 결과는 Table 2와 같다. 본 연구 결과 AST 수치가 pyruvate 첨가에 따라 OxPyr에서 Ox에 비해서 유의적으로 감소하였고, cortisol은 oxalate 첨가에 따라 Ox에서 유의적으로 증가하였으며 OxPyr에서 대조군 수준으로 감소하였다(p < 0.05). ALT, ALP, GGT, T-Bil에서는 유의적인 차이가 발견되지 않았다(p > 0.05). AST는 미토콘드리아에 80%, 세포질에 20%가 분포하며 간 손상 지표로 주로 사용된다[19, 20]. Oxalate는 미토콘드리아 막 전위 균형의 불균형을 초래하여 미토콘트리아 팽창과 외막 파열을 유도함으로써 AST의 유리를 증가시켜 AST 농도를 증가시킨다[8]. Dong et al.[21]은 ethyl pyruvate가 돼지의 출혈성 쇼크로 인한 혈청 내 AST의 과잉 발현을 정상 수준으로 낮출 수 있다고 보고하였다. 또한 pyruvate는 미토콘드리아에 추가적인 ATP를 공급하여 미토콘드리아 기능의 안정화와 막 전위를 보호한다[22]. 이는 외인성 pyruvate의 추가적인 ATP 공급이 미토콘드리아 손상으로 인한 AST의 유리를 억제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Table 2.

Effects of oxalate and pyruvate supplementation on serum biochemical indicators in broiler chickens (d 29)

Group1) CON Ox OxPyr SEM2)p-value
ALT (U/L) 1.267 1.417 0.967 0.12 0.225
AST (U/L) 401ab 456a 296b 27.52 0.032
ALP (U/L) 8329 9536 10783 848.51 0.336
GGT (U/L) 15.40 13.73 15.91 0.66 0.501
T-Bil (mg/dL) 0.927 0.912 0.957 0.03 0.794
Cortisol (pg/ml) 1895b 2996a 1626b 210.30 0.004

1) ALT, Alanine Aminotransferase; AST, Aspartate Aminotransferase; ALP, Alkaline Phosphatase; GGT, Gamma-Glutamyl Transpeptidase; T-Bil, Total Bilirubin.

2) Standard error of means.

Cortisol은 스트레스 환경에 노출되었을 때 증가하는 호르몬으로 장내 칼슘 흡수를 저하시키고, 지속적인 스트레스를 받은 동물에서 Ca-Oxalate (CaOx) 결석 형성을 촉진할 수 있다[23, 24, 25]. Oxalate가 미토콘드리아 에너지 대사 장애 및 ROS 생성을 유도하였고, cortisol은 이러한 미토콘드리아 산화스트레스의 직접적인 결과로 인해 증가된 것으로 사료된다[25]. 또한 Cao et al.[26]에 따르면 미토콘드리아의 oxalate 노출은 ROS의 축적을 증가시키고, 이로 인해 미토콘드리아의 기능적 장애를 일으킨다고 보고하였다. 본 연구에서 혈청 내 cortisol 수준이 감소한 것은 pyruvate가 항산화제로 작용해 oxalate로 인한 미토콘드리아의 산화 스트레스 완화에 기인한 것으로 생각된다[11, 27].

3.3. 항산화 효과

사료 내 oxalate와 pyruvate의 첨가에 따른 항산화 효과에 미치는 영향은 Table 3와 같다. 혈청 내 GSTs의 농도는 oxalate 첨가에 따라 유의적으로 감소하였고, SOD는 pyruvate 첨가에 따라 OxPyr에서 Ox에 비해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p < 0.05). GSH-Px와 T-AOC는 Ox 처리구에서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고 pyruvate 첨가에 따라 OxPyr 처리구에서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p < 0.05).

GSTs는 세포질 또는 미토콘드리아에 존재하며 세포 내 산화 환원 균형을 유지하는 데 기여하는 효소이다[28, 29, 30]. 그러나 GSTs는 ROS에 의해 불활성화 되며 GSTs가 가진 Glutathione 결합 부위가 산화에 의해 비가역적으로 손상될 수 있다[31]. Schroer et al.[32]은 마우스 모델에서 ROS로 인해 GST 종류 중 하나인 GSTPi의 활성이 감소했다고 보고하였다. 이는 oxalate로 유도된 ROS에 의해 GSTs 활성이 비가역적으로 저해되었음을 시사한다. 또한 Vanhaecke et al.[33]은 세포 배양액에 pyruvate를 첨가할 경우 GST 및 관련 단백질의 활성이 억제된다고 보고하였으며, 본 실험 결과도 이와 유사한 결과를 나타냈다.

Table 3.

Effects of oxalate and pyruvate supplementation on serum antioxidant concentrations and total antioxidant capacity in broiler chickens (d 29)

Group1) CON Ox OxPyr SEM2)p-value
GSTs (ng/ml) 30.96a 17.04b 17.35b 1.90 0.001
GSH-Px (ng/ml) 71.65b 90.92a 73.82b 3.46 0.027
SOD (U/L) 499ab 560a 459b 15.49 0.041
T-AOC (U/ml) 3.22b 6.78a 3.73b 0.51 0.001

1) GSTs, Glutathione S-Transferases; GSH-Px, Glutathione Peroxidase; SOD, Superoxide Dismutase; T-AOC, Total Antioxidant Capacity.

2) Standard error of means.

GSH-Px는 Glutathione을 사용해 H2O2 및 기타 과산화물을 환원시킴으로써 세포를 산화적 손상으로부터 보호하는 항산화 효소로, GSH-Px의 활성 증가는 산화 스트레스에 대한 반응성 증가를 나타내는 지표로 간주된다[34]. 이전 연구에서는 육계 사료에 3 mEq/kg의 지질 과산화물을 보충했을 때 GSH-Px 활성이 유의적으로 증가했다고 보고하였으며[35], H2O2로 유도된 세포사멸 연구에서는 pyruvate를 100 µM에서 4 mM까지 처리했을 때 세포 생존율이 용량 의존적으로 증가했다고 보고하였다[22]. 이는 oxalate로 유도된 ROS 생성이 산화 스트레스를 증가시켰고, 이를 완화하기 위해 항산화 효소 수준이 증가한 것으로 판단된다. OxPyr 처리구의 GSH-Px 수준이 유의적으로 감소한 결과는 pyruvate의 보충이 oxalate에 의해 생성된 H2O2을 제거함으로써 산화 스트레스 수준을 완화시켰기 때문으로 사료된다[36].

SOD는 슈퍼옥사이드 라디칼(O2⁻)을 H2O2로 전환시키는 항산화 효소로, ROS 제거의 초기 단계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하며[37], SOD의 작용 이후 항산화 효소들이 H2O2를 물과 산소로 분해하여 산화적 손상을 방지한다고 알려져 있다[38]. 본 연구 결과 Ox 처리구에서 SOD 수준이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난 것은 oxalate에 의해 유도된 ROS를 제거하고, 특정 산화 조건에서 탈카르복실화 및 산화되는 과정에서 생성될 수 있는 O2⁻을 H2O2로 전환하기 위한 생리적 반응에 의해 효소 수준이 증가된 것으로 사료된다[39]. OxPyr 처리구의 SOD 활성은 유의적으로 낮게 나타났는데, 이는 pyruvate의 비효소 산화적 탈탄산 반응을 통해 H2O2를 직접 제거함으로써 산화스트레스를 완화시켜 SOD 활성이 상대적으로 감소한 결과로 판단된다[40].

T-AOC은 항산화 효소와 비효소계 항산화 물질을 모두 포함한 항산화 물질의 총량을 의미하며, 산화 스트레스 상태를 반영하는 지표로 사용된다[41]. 본 연구 결과 Ox에서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난 것은 oxalate로 인한 산화 스트레스에 대응하기 위해 항산화 물질의 수준이 증가한 결과로 생각된다[42]. 반면 OxPyr 처리구에서는 T-AOC 수치가 유의적으로 낮게 나타났는데, 이는 oxalate에 의해 유도된 산화 스트레스가 pyruvate 처리에 의해 억제되어 방어 반응이 완화되었음을 나타내는 것으로 사료된다.

본 연구 결과 pyruvate의 첨가는 oxalate에 의한 육계의 사양성적, 혈액 성상 및 항산화 효과를 부분적으로 개선시킬 수 있음을 시사한다. 반면 육계 사료 내 oxalate의 항영양 효과를 완화하기 위한 pyruvate의 사용에 관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으로, 이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4. Conclusions

본 연구 결과 pyruvate의 보충은 사양성적을 일부 개선하였으며, 혈액성상 및 혈청 항산화 효소 수치를 개선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pyruvate가 육계 사료 내 oxalate로 인한 항영양 효과를 부분적으로 완화한다는 것을 시사한다.

Conflict of Interests

No potential conflict of interest relevant to this article was reported.

References

1

Popova A, Mihaylova D. 2019. Antinutrients in plant-based foods: A review. Open Biotechnol J 13(1). https://doi.org/10.2174/1874070701913010068

10.2174/1874070701913010068
2

Rahman M, Abdullah R, Wan Khadijah W. 2013. A review of oxalate poisoning in domestic animals: tolerance and performance aspects. J Anim Physiol Anim Nutr 97(4):605-614. https://doi.org/10.1111/j.1439-0396.2012.01309.x

10.1111/j.1439-0396.2012.01309.x22548678
3

Scott AB, Singh M, Toribio J-A, Hernandez-Jover M, Barnes B, Glass K, Moloney B, Lee A, Groves P. 2017. Comparisons of management practices and farm design on Australian commercial layer and meat chicken farms: cage, barn and free range. PLoS One, 12(11):e0188505. https://doi.org/10.1371/journal.pone.0188505

10.1371/journal.pone.018850529166389PMC5699831
4

Fanatico A, Brewer V, Owens-Hanning C, Donoghue D, Donoghue A. 2013. Free-choice feeding of free-range meat chickens. J Appl Poult Res 22(4):750-758. https://doi.org/10.3382/japr.2012-00687

10.3382/japr.2012-00687
5

Kaufman DW, Kelly JP, Curhan GC, Anderson TE, Dretler SP, Preminger GM, Cave DR. 2008. Oxalobacter formigenes may reduce the risk of calcium oxalate kidney stones. J Am Soc Nephrol 19(6):1197-1203. https://doi.org/10.1681/ASN.2007101058

10.1681/ASN.200710105818322162PMC2396938
6

Lietzan AD, Maurice MS. 2013. Insights into the carboxyltransferase reaction of pyruvate carboxylase from the structures of bound product and intermediate analogs. Biochem Biophys Res Commun 441(2):377-382. https://doi.org/10.1016/j.bbrc.2013.10.066

10.1016/j.bbrc.2013.10.06624157795PMC3894693
7

Muñoz ME, Ponce E. 2003. Pyruvate kinase: current status of regulatory and functional properties. Comp Biochem Physiol Biochem Mol Biol 135(2):197-218. https://doi.org/10.1016/S1096-4959(03)00081-2

10.1016/S1096-4959(03)00081-212798932
8

Bantel H, Schulze-Osthoff K. 2012. Mechanisms of cell death in acute liver failure. Front Physiol 3:79. https://doi.org/10.3389/fphys.2012.00079

10.3389/fphys.2012.0007922485095PMC3317271
9

Albert A, Paul E, Rajakumar S, Saso L. 2020. Oxidative stress and endoplasmic stress in calcium oxalate stone disease: the chicken or the egg? Free Radic Res 54(4):244-253. https://doi.org/10.1080/10715762.2020.1751835

10.1080/10715762.2020.175183532292073
10

El Sebaei MG, Arafat N, El‐Shafei RA, El‐Adl MA, Farag A, Aziza AE, Eladl AH. 2021. Biochemical and molecular investigation of oxidative stress associated with urolithiasis induced by increased dietary calcium or protein in chickens. J Anim Physiol Anim Nutr 105(1):129-139. https://doi.org/10.1111/jpn.13436

10.1111/jpn.1343632790029
11

Yako H, Niimi N, Kato A, Takaku S, Tatsumi Y, Nishito Y, Kato K, Sango K. 2021. Role of pyruvate in maintaining cell viability and energy production under high-glucose conditions. Sci Rep 11(1):18910. https://doi.org/10.1038/s41598-021-98082-w

10.1038/s41598-021-98082-w34556698PMC8460646
12

Zhao M, Gong D, Gao T, Zhang L, Li J, Lv Pa, Yu L, Zhou G, Gao F. 2018. In ovo feeding of creatine pyruvate increases the glycolysis pathway, glucose transporter gene expression, and AMPK phosphorylation in breast muscle of neonatal broilers. J Agric Food Chem 66(29):7684-7691. https://doi.org/10.1021/acs.jafc.8b02557

10.1021/acs.jafc.8b0255729974734
13

Ramos-Ibeas P, Barandalla M, Colleoni S, Lazzari G. 2017. Pyruvate antioxidant roles in human fibroblasts and embryonic stem cells. Mol Cell Biochem 429:137-150. https://doi.org/10.1007/s11010-017-2942-z

10.1007/s11010-017-2942-z28247212
14

Long LH, Halliwell B. 2009. Artefacts in cell culture: pyruvate as a scavenger of hydrogen peroxide generated by ascorbate or epigallocatechin gallate in cell culture media. Biochem Biophys Res Commun 388(4):700-704. https://doi.org/10.1016/j.bbrc.2009.08.069

10.1016/j.bbrc.2009.08.06919695227
15

Aviagen. 2019. Ross 308 Broiler Nutrition Specifications. Aviagen Ltd., Newbridge, UK.

16

Koni TNI, Foenay TAY, Wirawan IGKO. 2021. Nutritive value of different processed elephant foot yam (Amorphophallus companulatus) tuber meal for broiler chickens. Livestock Research for Rural Development 33(3):41-55.

17

Robertson E, Brin M, Norris L. 1947. The use of dehydrated beet leaves in chick rations. Poult Sci 26(6):582-587. https://doi.org/10.3382/ps.0260582

10.3382/ps.0260582
18

de Carvalho BR, Hélvio da Cruz Ferreira J, da Silva Viana G, Alves WJ, Muniz JCL, Rostagno HS, Pettigrew JE, Hannas MI. 2021. In-feed organic and inorganic manganese supplementation on broiler performance and physiological responses. Anim Biosci 34(11):1811. https://doi.org/10.5713/ab.20.0797

10.5713/ab.20.079734237928PMC8563254
19

Goorden S, Buffart TE, Bakker A, Buijs MM. 2013. Liver disorders in adults: ALT and AST. Nederlands Tijdschrift voor Geneeskunde 157(43):A6443-A6443.

20

Ndrepepa G. 2021. Aspartate aminotransferase and cardiovascular disease-a narrative review. J Lab Precis Med 6:6. https://doi.org/10.21037/jlpm-20-93

10.21037/jlpm-20-93
21

Dong W, Cai B, Peña G, Pisarenko V, Vida G, Doucet D, Lee M, Sharpe S, Lu Q, Xu D-Z. 2010. Ethyl pyruvate prevents inflammatory responses and organ damage during resuscitation in porcine hemorrhage. Shock 34(2):205-213. https://doi.org/10.1097/SHK.0b013e3181cc0c63

10.1097/SHK.0b013e3181cc0c6319953001PMC2891599
22

Wang X, Perez E, Liu R, Yan L-J, Mallet RT, Yang S-H. 2007. Pyruvate protects mitochondria from oxidative stress in human neuroblastoma SK-N-SH cells. Brain Res 1132:1-9. https://doi.org/10.1016/j.brainres.2006.11.032

10.1016/j.brainres.2006.11.03217174285PMC1853247
23

Arzoz-Fàbregas M, Ibarz-Servio L, Fernández-Castro J, Valiente-Malmagro M, Roca-Antonio J, Edo-Izquierdo S, Buisan-Rueda O. 2013. Chronic stress and calcium oxalate stone disease: influence on blood cortisol and urine composition. Urology 82(6):1246-1254. https://doi.org/10.1016/j.urology.2013.06.077

10.1016/j.urology.2013.06.07724129077
24

Schmucki O, Asper R, Zortea C. 1984. Stress und Urolithiasis. Urol Int 39(3):159-164. https://doi.org/10.1159/000280966

10.1159/0002809666740806
25

Spiers JG, Chen H-JC, Sernia C, Lavidis NA. 2015. Activation of the hypothalamic-pituitary-adrenal stress axis induces cellular oxidative stress. Front Neurosci 8:456. https://doi.org/10.3389/fnins.2014.00456

10.3389/fnins.2014.0045625646076PMC4298223
26

Cao L-C, Honeyman TW, Cooney R, Kennington L, Scheid CR, Jonassen JA. 2004. Mitochondrial dysfunction is a primary event in renal cell oxalate toxicity. Kidney Int 66(5):1890-1900. https://doi.org/10.1111/j.1523-1755.2004.00963.x

10.1111/j.1523-1755.2004.00963.x15496160
27

Kwak YB, Seo SA, Kim M, Yoon J. 2024. Identification of altered blood metabolic pathways in equines following ethyl pyruvate administration using non-targeted metabolomics. Sci Rep 14(1):27684. https://doi.org/10.1038/s41598-024-75734-1

10.1038/s41598-024-75734-139532936PMC11557697
28

Chasseaud L. 1979. The role of glutathione and glutathione S-transferases in the metabolism of chemical carcinogens and other electrophilic agents. Adv Cancer Res 29:175-274. Elsevier https://doi.org/10.1016/S0065-230X(08)60848-9

10.1016/S0065-230X(08)60848-9474272
29

Goto S, Kawakatsu M, Izumi S-i, Urata Y, Kageyama K, Ihara Y, Koji T, Kondo T. 2009. Glutathione S-transferase π localizes in mitochondria and protects against oxidative stress. Free Radical Biology and Medicine 46(10):1392-1403. https://doi.org/10.1016/j.freeradbiomed.2009.02.025

10.1016/j.freeradbiomed.2009.02.02519269317
30

Tang K, Xu S, Chen P, Cai J, Huang T, Liu M, Li W, Yu Y, Che B, Zhang W. 2024. Potential role of glutathione S‑transferase M1 gene polymorphism in kidney calcium oxalate stone formation. Int Urol Nephrol 56(3):887-892. https://doi.org/10.1007/s11255-023-03846-0

10.1007/s11255-023-03846-037891380
31

Terada T, Matsumura M, Abe A, Morita Y, Adachi H, Nanjo H. 1995. Irreversible inactivation of glutathione S-transferase-π by a low concentration of naphthoquinones. Redox Rep 1(2):125-130. https://doi.org/10.1080/13510002.1995.11746970

10.1080/13510002.1995.1174697027405555
32

Schroer KT, Gibson AM, Sivaprasad U, Bass SA, Ericksen MB, Wills-Karp M, LeCras T, Fitzpatrick AM, Brown LAS, Stringer KF. 2011. Downregulation of glutathione S-transferase pi in asthma contributes to enhanced oxidative stress. J Allergy Clin Immunol 128(3):539-548. https://doi.org/10.1016/j.jaci.2011.04.018

10.1016/j.jaci.2011.04.01821570714PMC3164907
33

Vanhaecke T, Foriers A, Geerts A, Shephard EA, Vercruysse A, Rogiers V. 2001. Pyruvate-induced long-term maintenance of glutathione s-transferase in rat hepatocyte cultures. Altern Lab Anim 29(3):335-346. https://doi.org/10.1177/026119290102900324

10.1177/02611929010290032411387028
34

Surai PF, Kochish II, Fisinin VI, Kidd MT. 2019. Antioxidant defence systems and oxidative stress in poultry biology: An update. Antioxidants 8(7):235. https://doi.org/10.3390/antiox8070235

10.3390/antiox807023531336672PMC6680731
35

Upton J, Edens F, Ferket P. 2009. The effects of dietary oxidized fat and selenium source on performance, glutathione peroxidase, and glutathione reductase activity in broiler chickens. J Appl Poult Res 18(2):193-202. https://doi.org/10.3382/japr.2008-00019

10.3382/japr.2008-00019
36

Guarino VA, Oldham WM, Loscalzo J, Zhang Y-Y. 2019. Reaction rate of pyruvate and hydrogen peroxide: assessing antioxidant capacity of pyruvate under biological conditions. Sci Rep 9(1):19568. https://doi.org/10.1038/s41598-019-55951-9

10.1038/s41598-019-55951-931862934PMC6925109
37

Holley AK, Dhar SK, Clair DKS. 2010. Manganese superoxide dismutase vs. p53: regulation of mitochondrial ROS. Mitochondrion 10(6):649-661. https://doi.org/10.1016/j.mito.2010.06.003

10.1016/j.mito.2010.06.00320601193
38

Stephenie S, Chang YP, Gnanasekaran A, Esa NM, Gnanaraj C. 2020. An insight on superoxide dismutase (SOD) from plants for mammalian health enhancement. J Funct Foods 68:103917. https://doi.org/10.1016/j.jff.2020.103917

10.1016/j.jff.2020.103917
39

Twahir UT, Stedwell CN, Lee CT, Richards NG, Polfer NC, Angerhofer A. 2015. Observation of superoxide production during catalysis of Bacillus subtilis oxalate decarboxylase at pH 4. Free Radic Biol Med 80:59-66. https://doi.org/10.1016/j.freeradbiomed.2014.12.012

10.1016/j.freeradbiomed.2014.12.01225526893PMC4355160
40

Desagher S, Glowinski J, Prémont J. 1997. Pyruvate protects neurons against hydrogen peroxide-induced toxicity. J Neurosci 17(23):9060-9067. https://doi.org/10.1523/JNEUROSCI.17-23-09060.1997

10.1523/JNEUROSCI.17-23-09060.19979364052PMC6573585
41

Kusano C, Ferrari B. 2008. Total antioxidant capacity: a biomarker in biomedical and nutritional studies. J Cell Mol Biol 7(1):1-15.

42

Tang D, Wu J, Jiao H, Wang X, Zhao J, Lin H. 2019. The development of antioxidant system in the intestinal tract of broiler chickens. Poult Sci 98(2):664-678. https://doi.org/10.3382/ps/pey415

10.3382/ps/pey41530289502
페이지 상단으로 이동하기